초등사회과교육 분야의 이론과 실무를 겸하는 교과 전문가를 양성해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전공 졸업자는 초등학교의 사회과 수업 및 장학, 대학의 협력 교원 혹은 관련 연구기관이나 정부 등의 전문가로 활동 가능하도록 현장 친화적 사회교과 운영능력을 함양한다.
초등사회과교육의 구조를 이해하고, 사회과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교수·학습 능력을 습득하며, 지리, 역사, 일반사회 영역의 내용 전문성과 교재화 기능을 익혀, 지역, 국가, 세계 수준의 사회과 단원 개발과 실제 수업에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등사회과교육의 체계적 실행을 위한 필수 강좌로 사회과교육의 구조,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재개발 강좌를 개설하고, 선택 강좌로 지리, 역사, 일반사회 영역의 내용학과 교재 개발 및 현장연구 강좌를 접속시켰으며, 사회과교육실행연구법 및 논문연구 세미나를 통해 사회과 지식 생산자로서의 전문성을 함양하도록 구성하였다.
초등사회과교육의 기초 강좌는 이론 강의를 중심으로 팀프로젝트, 현장연구를 병행하며, 교과교육학 선택 강좌는 전임 및 겸임교원, 현장전문가의 협력 교수 체계를 취하여 현장 중심형으로 운영하고, 교과내용학 강좌는 학문영역별 전문가에 의한 강의 및 특강 형태로 진행한다. 연구방법 및 설계 강좌는 사회과교육의 방법론·방법을 익히는 과정으로 석사논문 작성을 위한 초학자로서의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실무적 성격을 강조한다.
초등사회과교육전공 석·박사 공통 동일 연계과정으로 전공필수에서 사회과교수·학습세미나, 사회과교재개발론을 개설하였다. 교과학 선택에서 사회과 평가, 비교, 문제, 철학을 내용학 선택에서 정치학, 문화인류학, 법학, 경제학, 글로벌지역연구를 개설하였다. 연구방법설계에서 현장실행연구법을 개설하여 박사과정생과의 공동연구 및 실무능력 함양을 모색하였다. 석·박사 심화 연계과정으로는 ‘~현장연구’ 강좌들과 ‘~교육론’ 강좌들을 개설하였다. 예를 들면, 역사교육 현장연구 강좌와 역사교육론은 실무 현장 중심의 강좌 성격과 이것의 이론화로의 연계성이라는 측면에서 기초와 심화의 관계를 가진 강좌에 해당된다. 심화 연계 강좌를 통해 사회과교육의 이론화와 정교화를 추구하였다.
기존의 교육대학원의 초등사회과교육전공 석사과정은 사회과 교사의 재교육과 전문성 신장을 주요 취지로 설립되었으므로 포괄적 교수요목들이 특강과 이론 중심으로 개설되었으며, 기초강좌의 경우 사회과의 구조에 대한 심층 이해를 추구하기보다는 사회과학적 지식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었고, 대학원생들이 체계적인 논문지도 강좌를 위한 현장실행연구법이 별도 영역으로 개설되지 못하였다. 이에 비해 교육전문대학원 체제의 초등사회과교육전공 석사과정은 사회과의 구조를 토대로 다양한 교과교육선택과 교과내용선택 강좌를 개설하였으며 연구방법설계 강좌를 별도 학점으로 운영하여 사회과 현장지식의 생산 및 적용 가능성을 높였다. 교수요목 구성에서도 교육대학원의 19개 강좌를 전문대학원에서는 25개 강좌로 증설하여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사회교과 전문가 양성이라는 기본 취지와 현장 적합성과 학문 친화성을 동시에 구비하려는 석·박사 과정 연계 체제를 구축하였다.
최근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사회변화 양상을 반영하기 위한 사회과교육의 영역으로 지속가능교육론과 글로벌지역연구세미나 강좌를 도입하여 사회적 효율성에 도달하려는 사회과의 본질을 추구하였다.